본문 바로가기
728x90

Certificate/정보처리기능사8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DBMS, 트랜잭션 DBMS ?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프로그램 -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을 해결하는 동시에 데이터 추가, 변경, 검색, 삭제 및 백업, 복구, 보안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 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며 데이터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Transaction) ? -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들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 트랜잭션의 특성(ACID) ? - 원자성 : 실행 중 중단되지 않게 하는 능력 - 일관성 : 실행의 완료 후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 - 독립성 : 한 트랜잭션의 실행 중 다른 트랜잭션이 끼어들지 못하게 보장 - 지속성 : 실.. 2023. 9. 22.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OSI 7계층 계층 정의 응용 파일 전송, 원격 접속, 메일 서비스 등 응용 서비스를 담당하며 여러가지 서비스(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계층 표현 송신자 측에서 수신자 측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번역)하고, 수신측에서는 다음 계층에 맞는 형태로 변환 세션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에 대한 제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 간의 접속을 연결, 유지, 종료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 전송 프로토콜 (TCP, UDP) 과 관련된 계층으로 오류제어 및 흐름제어 등을 담당하며, 두 시스템 간을 연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논리적 주소(IP주소)를 이용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며, 데이터가 전송될 수신 측 주소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다음 계층으로 전송 데이터링크 오류와 흐름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물리적 .. 2023. 9. 21.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2023,2022 실기 문제 트랜잭션의 특성 4가지 ? - 원자성 (Atomicity) - 일관성 (Consistency) - 독립성 (Isolation) - 영구성 (Durability) 역정규화 ? - 정규화의 단점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조회의 비용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복을 허용하며 Entity를 다시 통합하거나 분할하여 정규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DB 구조를 재조정하는 과정으로 이전에 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이다. 고객 테이블에서 직책이 부장을 포함하는 자료를 검색하는 SQL명령문을 모두 작성 ? - SELECT * FROM 고객 WHERE 직책 LIKE %부장% INDEX(인덱스) ? -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 2023. 9. 20.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릴레이션 차수,카디널리티 릴레이션의 열(Column)은 속성(Attribute)이라 하고, 속성의 수는 차수(Degree)라고 한다. 릴레이션의 행(Row)은 튜플(Tuple)이라 하고, 튜플(Tuple)의 수는 카디널리티(Cardinality)라고 한다. 도메인 :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모든 원자 값들의 집합 (총점이 취할 수 있는 도메인 : A,B,C,D) 2023. 9. 19.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아스키 코드표 ASCII Table 아스키 코드표 ASCII Table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의 약자, ASCII라고 불린다. 또한 ANSI에서 만든 표준 코드체계이다. 아스키코드를 알면 C/C++이나 Java 등으로 문자열 함수를 다루거나 파일 함수를 다룰때 도움이 된다. 컴퓨터는 0과 1 숫자 밖에 모르기 때문에 문자도 숫자로 기억한다. 아스키 코드(ASCII Table)는 0번부터 127번까지만 사용한다. 2023. 9. 17.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SQL - DDL, DML, DCL 데이터베이스 명령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CREATE, ALTER, DROP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의 데이터 전체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이다. create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등 생성 alter : 테이블 수정 drop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삭제 truncate : 테이블 초기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INSERT, UPDATE, DELETE, SELECT 데이터 조작어, 정의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레코드를 조회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 등 역할을 하는 언어이다. insert : 데이터 삽입 update : 데이터 수정 delete : 데이터 삭제 select : 데이터 조회 DCL.. 2023. 9. 14.
정보처리기능사실기 - 기억장치관리 교체전략(Replacement) 교체(Replacement)전략 ? 교체 전략은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이미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배치하려 할 때,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교체 전략의 종류에는 OPT,FIFO,LRU,NUR,MRU 등이 있다. OPT (OPTimal replacement, 최적 교체)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FIFO (First In First Out)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마다 그 때의 시간을 기억시켜 가장 먼저 들어와서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LRU (Least Recently Used) 계수기를 두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 2023. 5. 8.
정보처리기능사실기- 운영체제 UNIX,LINUX 운영체제 - UNIX ?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설계됨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있음 Tree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짐 ​ 요소 특징 커널 (Kernel)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됨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함 프로세스(CPU 스케줄링)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함 ​ 쉘 (Shell)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임 명령을 해석하여 커널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전달해주는 명령 인터프리터로, 단말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음 공용 Shell이나 사.. 2023. 3. 7.
728x90